로컬에서 톰캣을 돌려 리포트 환경을 설정해야하는 일이 생겼다. 입력할 ip를 찾으려는데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한 내 아이피와 ipconfig에서 확인 ip가 다른 것을 확인하고는 왜 다른건가 궁금했고 알아볼 필요가 있었다.
✍️ ipconfig와 포털사이트 내 아이피에서 확인한 ip는 왜 다를까?
먼저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한 내 아이피는 Public IP (공인 IP) 이다.
공인 IP는 인터넷에서 고유하며, 공인 IP 주소를 가진 장치는 인터넷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ICANN (국가별로 IP대역 관리) → 한국인터넷진흥원 (KISA, 국내 IP 주소 관리)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순으로 IP를 관리하고 있으며, 개인 및 회사는 ISP에서 공인 IP를 제공 받는다.
인터넷에 직접 접속해야하는 서버(웹, 이메일 등) 또는 장치는 공인 IP를 사용한다.
cmd - ipconfig에서 확인한 ip는 Private IP (사설 IP) 이다.
사설 IP는 특정 사설 네트워크에서 고유하며, 해당 네트워크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특정 사설 네트워크에서 고유하다라는 말이 무슨 의미냐 하면 위에서 발급받은 공인 IP가 하나일 때 공유기는 공인 IP를 받지만 공유기와 연결된 PC, 스마트폰, 태블릿은 공유기의 사설 IP를 받는다. 이때 공유기가 부여한 사설 IP 범위 내에서 고유하다라는 것을 말한다 .. ! ! ! (* 머릿속에서 트리 구조가 그려진다 😎)
사설 IP가 인터넷 통신할 땐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 NAT, PAT로 라우터에게 요청과 응답을 받는다.
+ 추가로 공부해볼 내용
- NAT, PAT
- port-forwarding
- localhost와 사설 IP
+ 참고 자료
https://rednooby.tistory.com/25
https://studyforus.tistory.com/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