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vie
우당탕 개발 💭
emovie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ALL (42)
    • Java (6)
    • DB,SQL (3)
    • Network (1)
    • DevOps (1)
      • Docker (1)
    • Git (2)
    • Algorithm (8)
    • Design Pattern (2)
    • Data Structure (2)
    • Software Engineering (1)
    • Issue (4)
    • Book (3)
    • TIL (3)
    • Work Experience (2)
    • Conference (1)
    • 회고 (1)
    • 모음 (2)

블로그 메뉴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java
    • 회고
    • 프로그래머의뇌
    • Git
    • Issue
    • 자료구조
    • fmt:parseDate
    • It
    • Jpub
    • TIL
    • 제이펍
    • MSSQL
    • ApacheAirflow기반의데이터파이프라인
    • 시스템테스트
    • server path
    • 자바
    • 제이펍전문서리뷰어2기
    • parseLocale
    • axios POST 403 Forbidden Error
    • DesignPattern
    • context root
    • 위클리챌린지
    • git history 정리
    • AWS로시작하는인프라구축의정석
    • ApacheAirflow
    • IT서적
    • 프로그래머스
    • 책리뷰
    • 책
    • IT서적리뷰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emovie

    우당탕 개발 💭

    Data Structure

    트리(Tree) 개념 정리

    2021. 10. 20. 22:35

    트리 (Tree) 란 ?

    노드들과 노드들을 연결하는 간선, 사이클이 없는 하나의 연결 그래프이다.

     

    트리 용어

    • 노드 Node : 트리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 간선 Edge : 노드와 노드 간의 연결선
    • 루트 노드 Root Node : 트리 구조에서 부모가 없는 최상위 노드
    • 부모 노드 Parent Node : 자식 노드를 가진 노드
    • 자식 노드 Child Node : 부모 노드의 하위 노드
    • 형제 노드 Sibling Node : 같은 부모를 가지는 노드
    • 외부 노드 External Node, 단말 노드 Terminal Node, 리프 노드 Leaf Node : 자식 노드가 없는 노드
    • 내부 노드 Internal Node, 비 단말 노드 Non-Terminal Node, 가지 노드 Branch Node : 자식 노드  하나 이상 가진 노드
    • 깊이 Depth : 루트에서 어떤 노드까지의 간선 수
    • 높이 Height : 어떤 노드에서 리프 노드까지 가장 긴 경로의 간선 수
    • 차수 Degree : 노드의 자식 수
    • 크기 Size : 자신을 포함한 자손의 노드 수
    • Level : 루트에서 어떤 노드까지의 간선 수
    • Path : 한 노드에서 다른 한 노드에 이르는 길 사이에 놓여있는 노드들의 순서
    • Path Length : 해당 경로에 있는 총노드의 수
    • Width : 레벨에 있는 노드 수
    • Breadth : 리프 노드의 수
    • Distance : 두 노드 사이의 최단 경로에 있는 간선의 수
    • Order : 부모 노드가 가질 수 있는 최대 자식의 주

     

    특징

    1. Tree는 그래프의 종류로, 계층 모델입니다.
    2. DAG의 한 종류입니다. DAG란? Directed Acyclic Graphs의 약어로 방향성이 있는 비순환 그래프를 말합니다. DAG는 사이클이 없습니다. 즉, Tree는 사이클이 없다.
    3. 간선은 항상 정점의 개수 - 1 만큼 가집니다.
    4. 두 개의 정점 사이는 1개의 경로만 가집니다.
    5. 부모-자식의 관계를 가지므로 흐름은 top-bottom 또는 bottom-top으로 이루어집니다.

     

    트리의 종류

    • 이진트리 : 각 노드의 차수(자식 노드)가 2 이하인 트리
    • 이진 탐색 트리 : 순서화된 이진트리
    • 균형 트리 : 스스로 균형을 잡는 이진 탐색 트리 (ex. AVL 트리, 레드 블랙 트리)
    • 이진 힙 : 노드의 값이 특정한 순서를 가지고 있는 완전 이진트리
    • 편향 트리 ( Skew Tree ) : 모든 노드들이 자식을 하나만 가진 트리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Data Stru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료구조
      emovie
      emovie

      티스토리툴바